나는 영화든, 소설이든, 음악이든,
손수건 귀퉁이에 수놓인 아기자기한 장식처럼
삶의 미묘한 디테일에 집중한 작고 예쁜 소품들을 좋아한다.
그런 작품에서는 섬섬옥수의 섬세한 손길이 느껴진다.
그러나 그 섬세한 아름다움을
햇볕에 그을린 듯한 투박하고 다듬어지지 않은 손으로
삶을 일구고 길어올리는 진실한 몸짓과는
쉽사리 비교할 수 없을 것 같다.
볼 수 있고, 보아야 하고, 보고 싶은 많은 책이나 영화들 사이에 묻혀
내 기억의 보관함 속에서 먼지가 더깨로 앉은 채
어느 샌가 제목마저 가리워지고 잊혀졌던
조금은 오래된 영화를 참 오랜만에 먼지를 털어 꺼내 봤다.
시골 극장의 까막눈 영사 기사를 연기하든, (시네마 천국)
세계를 울린 민중과 사랑의 시인, 파블로 네루다를 연기하든
마치 역할이 그에게 맞추어진 듯
수백, 수만 가지 표졍과 몸짓으로 섬세하게 자신의 역할을 표현하는
필립 느와레와
이 영화 촬영을 마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하는
순박하고 진실한 웃음의 시골 우체부 마리오 역의
마시모 트루와시 (Massimo Troisi 어떻게 읽는지 모르겠다)가
함께 한 "일 포스티노".
우정과 사랑과 삶과 시, 그 어느 하나에도 진심을 다하지 않은 적 없고,
그 어느 하나도 별개로 생각한 적 없는 마리오.
"내 마음이 마치 당신의 언어 위에서 일렁대는 조각배 같았어요.
그래서 듣고 있노라니 배멀미가 나는 것 같았죠"라는 말로
네루다의 바다에 관한 시에 답하여 시인을 놀라게 하고,
온갖 국제 행사 틈바구니에서 짧은 망명기간 동안 함께 했던,
비록 함께 하는 동안 보여준 우정이 거짓된 것은 아니었겠지만,
시골 마을의 초라한 우체부에게까지 마음쓰진 못한 네루다에게
조금의 섭섭함은 있었겠지만, 끝까지 우정으로 보답하던 그.
"당신이 떠나면서 우리 섬의 아름다움을 모두 다 가져가 버린 줄 알았는데,
날 위해 남겨둔 것들이 있더군요."라고 하면서
큰 파도, 작은 파도 소리, 벼랑 끝을 스치는 바람 소리,
밤하늘의 별빛 (그 별이 바람에 스치우는 소리),
곧 태어날 자신의 아들 파블리토의 심장 소리 등을
네루다에게 보내기 위해 하나하나 테이프에 담으며
실은 그 자신이 시가 되고, 시를 살고 있던 마리오의 모습.
그가 노동자 대회에서 낭송하기로 되어 있던,
네루다에게 바친 그의 시는 끝내 어떤 것이었는지
드러나지 않았지만, 굳이 그 시를 소리내 읽지 않아도
우리는 그의 시를 모두 생생히 들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의 삶, 그 바깥에 존재한 시는 없었으니까.
그가 친구를 위해 담은 그 바다와 하늘과 바람과 별빛의 소리,
그 소리를 담은 그의 마음 이상의 시란 그에게 없었을 테니까.
얼마나 슬프고 아름다운 영화였는지를
세월의 강을 건너느라 잠시 잊고 있었는데
그래서 완전 무장해제 상태로 있다가
처음엔 그의 수줍은 미소에 함께 웃고,
마지막엔 그의 아련한 미소에 엉뚱하게도 함께 울어버렸다.
"사랑에 빠졌군. 거긴 치료제가 있지." 라던 네루다에게
"치료제요? 싫어요. 전 그냥 이대로 아플래요. 사랑에 빠져 있을래요"
라고 대답하던 마리오처럼
나도 이 감동과 눈물에는 치료제를 쓰고 싶지 않다.
그냥 이대로 그를 위해 마음 한켠이 아린 채,
그를 위해 조금 울어주어도 괜찮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