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정적 한가운데서 문득 들려오는 낯선 서걱거림 같은
그런 영화들이 있다.
소란 한 번 떨지 않으면서 갑작스레 현기증을 일으키는
그런 영화들이,
가끔
있다.
내게는 "아무도 모른다"가 그랬다.
이 영화가 바탕으로 했다고 하는 실화를 접했을 때는
사실 슬픔이나 연민보다 그로테스크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다듬어지지 않은 "순수"의 이면에서 종종 발견하게 되는
걸러지지 않은 인간 내면의 잔인함을 본 느낌이었다.
그런데 그 사건을 바탕으로 허구적 재구성을 했다는 이 영화는
경악의 감정이 아니라 미묘한 슬픔과 역설적 희망에
감정의 촉수를 들이댔다.
그런 정서의 차이는 아마도
이미 벌어진 비극적 "결말"을 통해
아이들의 삶과 관계가
서로에게 매달리고, 싫증내고, 버리고 버림받는
과정에 불과했을 것이라 단정지어버린
나의 단선적인 시선과,
세상에게서도, 어머니에게서도 버림 받고도
끝내 서로에게 의지하고, 서로를 보듬어 안고 함께 살아갔고
마지막 작별의 순간까지 떠난 이를 위한 예의를 잊지 않았던
그들의 "삶"을 깊이 들여다 보고 포착하고 되살려낸
감독의 다층적 시각의 차이에서
빚어진 것일 터이다.
하지만 감독은
열세 살 마음에서 일어날 법한
철없음이나 이기심까지도
모조리 눈 감고 지나간 채,
슬픔을 억지로 과장하거나
"아키라"의 삶을 애써 미화하진 않는다.
다만 그 모든 삶의 누추함 속에서도
무성한 초록빛 풀들을 가꾸는 마음을
저버리지 않는 마음의 편린으로,
그리고 그 마음이 다치는 안타까운 사건으로
슬픔을 자아낸다.
다른 감정도 물론 그러할 테지만,
슬픔은 참으로 미묘해서
떠나가는 이와의 과장되고 격앙된 포옹 대신
떠난 이와의 지키지 못한 사소한 약속,
함께 살아가며 시간을 들여 눈여겨 본 사람만이 눈치챌 수 있는
떠나간 이의 작은 습관을 기억하며 눈물을 삼킬 때
더 슬프다.
그래서
떠나간 막내동생과 나눈 마지막 기억이
자신이 내뱉은 모진 말과 그 아이에게 던진 텅빈 눈빛,
마지막 잡은 아이의 손이 온기 없이 싸늘하게 식어있었단 사실을
고스란히 기억하고 스산히 손을 떨던 아키라와,
아무 말 없이 곁에서 그 떨리던 손을 잡아주던 친구의
사소한 몸짓에서
돌이킬 수 없는 상실의 슬픔도
남겨진 이들 앞의 불안한 희망도
더 절절하게 느껴졌다.
버려지고도,
스스로도, 서로도 끝내 저버리지 않는 심지 곧은 마음.
남겨진 아이들은 정말
그 마음으로 세상을 줄곧 바라볼 수 있을까.
버려지더라도,
스스로에게, 세상을 향해 내민 온기 어린 손길을
마지막까지 거두지 않는 그런 사람이
나는 과연 될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