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ross the universe 


아마도 이 책을 정치하게 분석하거나 좀 더 섬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 번 읽어가지고는 안 되겠지만, 일단 '인상'만이라도 간단히 언급하자면, 이 책은 정말 재미있다. 무엇보다 웃기다. 어이없어서 헛웃음이 나게 그렇게 웃기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신랄한 풍자, 날카로운 유머에 나도 모르게 낄낄거리면서 웃게 된다. '뇌가 쫄깃해'질 정도로 재미있는 책을 읽고 싶다고 했던 키드니의 말이 정말 독서의 욕망에 관한 한, 무릎을 치게 한 표현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책이 내게는 간만에 그런 책이었다. 이론서라든가 철학책을 읽고 온갖 '사유'가 요동치는 사람들도 있지만, 난 그런 책을 읽으면 별 감흥이 생기지도 않고, 오로지 목적론적으로 필요한 부분만 무미건조하게 채취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 책은 엄밀하게 '이론서'라고 하기는 좀 힘들지만 --오히려 좀 더 자기 주장이 강한 '논서'라든가, <공산당선언> 같은 팜플렛에 가까우려나. 팜플렛이라기엔 또 분량이 너무 많긴 하고.-- 어쨌든 명백히 소설류의 문학은 아니고, 문학이론가이자 맑스주의자로서의 테리 이글턴의 농밀하면서도 기지 넘치는 사유가 돋보이는 책이라는 점에서 나에게는 이론서에 가까운 책이었다. 그런데도 너무너무 재미있게 읽었다. 다만 생각의 켜들이 너무나 조밀해서 그 사이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이 쉽지 않아 몇 줄, 몇 페이지만 읽고 나서도 한참씩 생각을 해야 했고, 그 와중에 이런저런 TV 프로그램까지 보느라 책을 자주 손에서 놓았더니, 미주며 역자후기 같은 거 다 빼면 본문 분량은 불과 200페이지 정도밖에 되지 않는 책 한 권을 다 읽는데 3주가 넘게 걸리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재미있다는 생각 만큼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

표면적으로는 리처드 도킨스와 크리스토퍼 히친스라는 새로운 무신론자들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하고, 실제로 그들을 대놓고 까대는 구절들에서 폭소를 자아내는 때가 꽤 많았으며, 그러한 시류에 대한 이글턴의 비판이 이 책 저술의 출발점이 되었다. 실제로도 이 책의 원제가 『이성, 믿음 그리고 혁명: 신(神) 논쟁에 관한 성찰 (Reason, Faith, and Revolution: Reflections on the God Debate)』이라는 점을 보면, 그 사실은 더욱 분명해진다. 그런데 이 책은 근본적으로는 종교와 신앙, 무엇보다 '기독교'에 대한 그의 깊은 고민과 사유를 보여주는 책이다. 디치킨스('리처드 도킨스'와 '크리스토퍼 히친스'를 줄여 부르기 위해 테리 이글턴이 사용한 표현)의 책을 한 번도 읽어보지 않았는데도, 나 역시 지하철이나 명동 한복판에서 종종 마주치게 되는, '하나님을 믿지 않으면 지옥에 떨어지리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대는 기독교인들, 혹은 그 정도로 극단적이지는 않아도, 선의를 가장해서 개종을 강요하는 일부 기독교인들을 보며 불쾌했던 경험을 떠올리다 보면, 사실 디치킨스를 설명하는 몇 마디 말만 들어봐도 그들의 생각에 쉽사리 편향되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런데 그런 새로운 무신론자들에 대해 비판하는 이글턴의 글을 읽고 내가 당장 기독교로 개종을 하게 되지는 않겠지만,  그의 책에서, 내가 보고 싶었던 기독교인의 긍정적 면모를 발견하고, 확실히 디치킨스가 비판하는 것보다는 훨씬 더 근본적인 지점에서부터 기독교를 사유하는 사람의 생각에 대해 동의할 부분들이 분명히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결정적으로 나처럼 거의 무신론자에 가까운 종교적 입장을 가진 사람들은 사실 기독교를 접할 때 신의 '존재론'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힘들고 까다롭기도 한데,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인간의 형상을 한 인간중심적 하나님'이 아닌 방식으로 신의 존재를 논증하고 해석하는 부분은 대단히 흥미로웠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 사람의 논객으로서 그가 자신의 사유를 벼려서 날카롭게 휘두르는 그의 태도 자체에 깊은 감흥을 받았다. 오죽하면 이 책을 읽고 나니, 국문과의 필독서여서 꾸역꾸역 읽기는 읽었지만 내용이 뭐 하나 기억도 나지 않는 시커먼 표지의 『문학이론입문』이 다시 읽고 싶어졌을까.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초반엔 인용하고 싶은 구절들을 좀 쳐넣었는데, 나중엔 책을 거의 통째로 입력해야 될 지경에 이르러 제대로 집중해서 읽을 수가 없어서 그건 포기해 버렸다. 나에게 그만큼 이 책은 재미있었고, 무엇보다 종교, 특히 기독교라는 특정 분야에 관한 이론이나 사상을 넘어서는 삶에 대한 그의 통찰에 무척 깊은 감명을 받았다. 그런 한편으로는 마을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기독교에 관한 입장이나 이론이 분명한 벨로가 이 책을 읽으면 어떤 생각을 할까라는 궁금증도 생겼다는. (혹시라도 읽어볼 생각이 들면 기꺼이 빌려드리겠소. ㅎㅎ)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자면, 다소 도발적인 느낌이 없진 않지만 『신을 옹호하다』라는  한국어 제목은 간명하게 잘 뽑았다는 생각이 든다. 강주헌 씨 번역도 적절한 수준의 각주가 들어가 있으면서 좋았고.  






Posted by papy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