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ross the universe 


올봄은 어쩌다 보니 한옥과 인연이 많이 닿은 계절이 되었다. 자신이 어린 시절에 살았던 한옥집을 중요한 소재로 한 서도호의 '집 속의 집' 전시에 다녀온 것도 그랬고, 얼마 전에 보고 온 한국가구박물관의 구찌 특별전시도 전시장이 흔한 시멘트 건물이 아니라 입이 떡 벌어지게 한 한옥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번 주말에 다녀온 안동이 가히 화룡정점이라고 할 만했다. 


고등학교 때 국사 선생님의 설명을 제대로 기억하고 있다면, 우리 나라에서 절이나 궁궐 같은 것을 제대로 짓기 위해서는 목재 골조를 먼저 완성한 뒤, 곧바로 벽을 바르거나 지붕을 얹지 않고 십 년 가까이 그 상태로 골조를 놔두었다고 한다. 이유는 바로 나무가 습기나 풍파 등의 환경 조건에 의해 자연적으로 뒤틀리는 성질이 있기 때문. 십 년 정도 시간을 두면 스스로 자리를 잡고 그 이상의 심한 변형이 생기지 않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나무의 뒤틀림으로 인해 벽이나 천장 등도 갈라져 버릴 수 있다고. 게다가 알 만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한옥은 못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순전히 목재 조각 하나하나를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해, 사실상 간단한 해체와 조립이 가능하다는. 이를테면 거대한 목조 레고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것. 그토록 정교해 보이는 데에도, 이처럼 단순하면서 과학적인 설계를 통해 이동까지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 또 한 번 감탄을 자아낸다.


헌데 그러한 과학적인 설계의 탁월성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또 충분히, 그 어느 나라의 전통 건축물과 견주어도 결코 뒤지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사실상 그런 가운데에서도 최고 수준이라고 할 만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냈다는 것이 한옥의 또 다른 놀라운 점. 세월이 앉은 목재에서 느껴지는 따뜻함, 지붕의 기와 하나 담장의 무늬 하나에서도 느껴지는 섬세한 디테일이나 날렵한 처마의 선,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아우르는, 열린 문틈이나 낮은 담장을 통해 안팎의 풍경이 서로 섞여들듯 조화를 이루도록 조성된 개방적인 공간구조가 너무도 아름다우면서도 경탄스러웠다. 


이 모든 것들을 마음껏 음미하며 돌아볼 수 있었던, 길고도 여유로운 하회마을 산책은 참으로 만족스러웠던 코스였다. 그리하여 평소엔 사진 따위 많이 올리는 블로그는 아니지만, 어차피 키드니처럼 상세한 여행기를 올리게 될 것 같지는 않고, 핑계삼아 오랜만에 이런저런 사진을 올려본다. 여행 사진이라는 게 본래 다녀온 사람에게나 재미있지, 뭐 그냥 보는 사람들에겐 시큰둥한 것일 수 있지만 어쨌든. ㅎ 여행을 가서든 일상적인 공간에서든, 사람마다 눈여겨 보는 것이 다 다를 것이란 생각이 드는데, 내가 주로 눈길을 주게 되는 것들은 어찌 보면 집채 덩어리 하나라기보다는 그  사이사이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작은 디테일 같은 부분이었던 것 같다. 자신에게는 어떤 부분, 어떤 공간이 더 의미 있었을까라는 걸 비교하면서 본다면 이 사진들을 보는 게 좀 덜 지루할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 변명 한 마디 덧붙이고 일단 공개.
















Posted by papy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