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이나 추억이란 이름의 생각뭉치들은 가끔
사람을 한없이 눅진하게 잡아내리기도 하기는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누군가가 내 기억 속의 조각난 장면을
일부러 끄집어내 턱-하니 눈 앞에 펴 놓기라도 한 것 같은 무언가를 보면
소스라쳐 놀라고 나선 그 안으로 깊숙이 빨려 들어가 버린다.
"집으로"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나는 잘 모르겠다.
결코 바닥나지 않을 깊이의 포용력을 지닌 (외)할머니와,
반말, 가시돋힌 말, 이기심으로 똘똘 뭉친 일곱 살 꼬맹이의 존재,
그들이 던져진 외딴 공간, 그런 것들에 어떤 이들은 어떤 코드를 씌울 수 있는지,
혹은 어떻게 코드를 벗어나는 의미망을 펼쳐내는지 그런 거 솔직히 잘 모르겠다.
내가 그 영화에 놀라움이나 아름다움을 느꼈다면
그건 너무나 나의 기억과 똑닮아있는 존재들이
버젓이 나와 걸어다닐 때 이런 형상을 하는구나,라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니 내가 이 영화에 대해 뭔가를 지금 뇌까린다면, 그건,
오늘 아침에 영화를 보고난 직후 미처 생각이라는 것이 내려앉기도 전에,
바로 나타나는 즉각적이고 일차적인 반응에 불과한 것이다.
영화에서만큼 그렇게까지 심한 오지는 아니더라도
강릉 시내에서 한참을 털털털 버스를 타고 들어가서
흙먼지 풍기는 길을 또 걸어오르고 올라야 닿았던 외갓댁,
그곳에 가면 늘 웃음과 눈물이 섞인 표정으로 계시던, 까맣던 외할머니,
밤이면 개구리, 두꺼비 울음이 가득 메우곤 하던 좁다란 마당,
귀퉁이의 컴컴퀴퀴한 뒷간, 누리끼리한 벽지에 창호지문,
방안과 똑같은 벽지를 바른 미닫이 문달린 작은 창고 가득 할머니 잡동사니,
(그런 창고, 뭔가 부르는 이름이 있긴 있었던 것 같은데...)
어쩌다 생길 때마다 차곡차곡 쌓아놓고 모아둔 과자며 초코파이며 사탕들.
그리고 내가 중고생이 되었을 때도 가끔,
장에 나가 밤을 팔아 사두셨다 엄마 편에보내셨다는 초코파이나
단오장에서 사셨다는 양말 한두 켤레...
말 못하는 채로 쪼그리고 앉아 나물이며 호박을 팔고 있는 할머니가 창피해서
장터의 어느 담장 모퉁이에 몸을 숨기고 할머니를 훔쳐 보던 상우의 모습은
내가 한 번도 본 적 없는,혹은 보았어도 이미 기억을 헤집어내기조차 어려우리만치
깊이 내려앉아 버린, 기억의 기억 속 어느 귀퉁이에 앉아있는
장터의 외할머니 모습과 겹쳐버린다.
말 한 마디 없이도, 가슴을 둥글게 쓸며 마냥 미안하다는 "말"을 연실하던 할머니 마음을,
독하고쓰라린 "말"로 마구마구 밟아버리던 손자의 모습이 마지막엔
"할머니 많이 아프거든 그냥 아무것도 쓰지 말고 보내.
그럼 상우가,할머니가 보낸 건 줄 알고 곧장 달려올 테니까, 알았지?"라는 말로,
버스 뒤 창가에서 가슴을 둥글게 쓸며 할머니를 마냥 바라보던 모습으로 옮아갈 즈음에 이르러서는
정교하고 세련되게 다듬어진 언어의 울타리가
참 감옥같은 것이었을 지도모르겠구나,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그러나 그런 생각마저 언어가 아니면 한 마디 내뱉을 수 없는 것이 나란 사람이고 보면
그럴 수 있는 것조차 고마운 일인지 모르지만.
그렇게나 나의 기억과 닮은, 혹은 닮았다고 스스로 생각하게끔 만드는,
그 영화를 보고 나서 사실 내 기억 안에 얼마나 풍요로운 존재가 살아있는가, 싶었다.
한껏 퍼주어도 결코 바닥나지 않는,
아무리 상처입어도 그 상처를 그대로 되돌려주지 않는,
애오라지 풍요로움을 능력으로 가지는 존재...
기억은 사람을 눅진하게 끄잡아내리는 관성의 힘을
그 자체로 가지고 있지는 않는다 싶다.
도리어 그 기억이 생생하게 살아있음이
삶 안에서 어떤 형태로 드러나고 어떤 것들을 해낼수 있는지는,
다만 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