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드 님 최근 글을 읽어 보니 지금 쓰고 계신 닉네임을 꽤 오랫동안 써오신 모양이다.
나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는 꽤 늦게 블로깅이나 싸이계에 입문했다고 생각하는 편인데
(어쩌면 나만의 착각인지도 ㅋㅋ)
그 전부터도 가끔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쓸 일이 있을 때는 지금의 닉네임을 써 왔다.
그 전에 잠시동안 "세모"나 "monologue" 같은 걸 쓰기도 했었으나,
"파피루스"를 발견(?)한 이후로는 이걸로 완전히 정착했다.
"파피루스"는 비교적 많이 알려진 단어인 터라 사실
이메일 계정이나 인터넷 아이디로 신청했을 때는 좌절당하기 일쑤였는데,
블로그 도메인으로 신청했을 때 별 어려움 없이 바로 통과돼서 참 기뻤었다. :D
많지는 않지만 왜 이런 닉네임을 쓰게 됐냐는 질문을 이따금 받을 때가 있는데,
사실 많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을까 싶은데, 뭐 대단한 계기랄 만한 것은 없다.
사실 "파피루스"란 내가 교환학생 갔던 시절, 내가 좋아해서 즐겨갔던 편지지 가게 이름이었다.
자전거가 나의 지인인 벨로의 삶에 미치는 절대적 영향에 비하면야
그 편지지 가게가 내 삶에 미친 영향이란 미미한 것일 수도 있지만,
내 오랜 *종이 편력*을 생각하면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나는 참 어려서부터 종이로 된 많은 것들을 좋아했다.
그 첫번째는 물론 책이었고,
때로는 그림을 그리는 게 좋아서, 또 글을 쓰는 게 좋아서,
스케치북이나 온갖 공책, 수첩, 메모지, 편지지, 카드 따위를
끝없이 사들이고 사 모았다.
요즘은 "있는 것 일단 다 쓰고-주의"로 살짝 돌아서긴 했지만
좋아하는 문구점에 가서 유혹을 뿌리치기란 참 쉽지가 않다.
카드도 매번 누구 생일 돼서 급하게 비싼 돈 주고 사지 말고
마음에 드는 게 눈에 띄면 미리 사 놓는다 하며 사놓고는
어디다 넣어뒀는지 찾지 못해서 번번이 새로 산다. -_-
그리고 생일이 지난 며칠 뒤 서랍 속 어느 비닐 뭉치에서 찾곤 한다.
그리고 맘에 쏙 드는 특이한 카드가 있으면 심지어 두 장씩 사기도 한다.
한 장만 사면 써서 다른 사람 주고 난 뒤 나한테는 결국 남지 않으니까
예쁜 카드 나도 한 장 갖고 있고 싶어서.
못 말린다. -_-
우리 나라 문구류가 예쁘긴 하지만
파피루스라는 이름의 그 편지지 가게가 나에게 주었던 즐거움은
그냥 예쁜 편지지나 공책을 보는 즐거움 이상이었다.
특이한 수제품 카드나 특이한 재질의 종이를 쓴 깔끔한 편지지나 공책들,
때로는 앨범이나 액자들 보고 한두 개씩 사다가
친구들에게 편지나 카드 한 장씩 쓸 때의 즐거움은
다른 데 비할 바가 아니었다.
그곳에 살 당시에는 몰랐는데
그 편지지 가게는 꽤나 큰 전국규모의 체인이었던지라
저번에 미국에 가서 다른 지역의 가게들에도 들러봤지만
역시 그 경험은 똑같지가 않았다.
실제로 그랬던 건지는 몰라도
어느 걸 고르면 좋을지 모를 정도로 손이 가는 카드가 많아서
어쩔 줄 몰랐던 그 때에 비하면, 마음 먹고 사려고 해도
썩 마음에 드는 것도 없었고,
대형 몰 안에 있던 그 가게는 다소 평범해 보였다.
햇살이 따뜻하게 비치던 주말 오후,
무심히 기숙사가 있던 언덕을 걸어내려와
이런저런 가게들이 즐비하게 서 있는 북적이는 거리를 지나
조금은 좁다란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면 있던 내 기억 속의 그 작은 가게는
역시 그 풍경 속에서나 살아있는 그런 곳이었던 모양이다.
그렇지만 "파피루스"를 닉네임으로 선택했을 때는, 무엇보다,
그 공간에 대한 남다른 향수만큼이나
"종이" 혹은 "태초의(?) 종이"라는 그 뜻 자체가 맘에 들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언제나
새로운 백지이기도 하고,
온갖 낙서들이 가득 메워진 날깃날깃해진 종이이기도 하고,
그리운 이에게 보낸 편지이기도 하고,
낯설고 신기한 이야기들이 가득 담긴 책이기도 하고
그랬으면 좋겠다.
@ 곰곰이 생각해 봤는데,
이런 포스팅이 내가 "여성스럽다"는 오해를 사는
결정적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저 나긋나긋하고 말랑말랑한 말투를 보라지!
나답지 않아~ -_-
'듯'은 그 자체로 의존명사인 경우와
'-듯이'의 준말로써 용언의 연결어미인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전자는 의존명사라는 품사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용언을 뒤따라 나오며, 그 때 반드시 띄어 써야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어미이므로 '-듯'이
앞에 쓰인 글자와 띄어 쓸 필요가 없고, 띄어 써서도 안 된다.
의미는 '~것같이', '~것처럼'이라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의미의 바탕을 가지고 있다.
의존명사 '듯'의 예는 -마치 어깨가 떨어져나갈 듯 아팠다.
-그들은 아무 짓도 저지르지 않았다는 듯 태연한 얼굴을 하고 있다.
-그녀는 들릴 듯 말 듯 혼자서 중얼거리고 있었다.
-그는 말을 꺼낼 듯 꺼낼 듯 하다가 끝내 아무 말 없이 돌아가버렸다. 등이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듯"은 의존명사이므로 조사 "이"를 붙여 쓸 수도 있다.
반면, 용언의 어미인 '듯'의 쓰임은 -그녀는 나를 마치 어린 아이 다루듯 대하고 있었다.
-그 사람은 역정을 내듯 내뱉었다.
-그 녀석은 술집을 마치 제집 드나들듯 하니 큰일이야.
전자와 후자의 경우에서 쓰임의 형태 차이를 보여주는 것은
전자는 용언의 '-ㄴ', -는', '-ㄹ' 꼴 뒤에 쓰이는 것이고,
후자는 용언의 어간(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에만 쓰인다.
마지막 예에 깜빡 속아넘어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들"에서 보이는 "ㄹ"은 전자의 관형격과는 다른 "ㄹ"이다.
바로 "드나들다"라는 동사의 어간에 해당하는 "드나들-"의 일부일 뿐인 것이다.
그런데 후자의 쓰임에서 또 한 번 주목할 것은
본딧말인 '-듯이'와 준말인 '-듯'의 쓰임 차이다.
사전에서는 '-듯이'는 용언의 어간과 '-았-' 뒤에 모두 쓰이지만
'-듯'은 용언의 어간 뒤에만 쓰인다고 지적하고 있다. (-너도 지금 보았듯이 그는 성격이 아주 포악해.)
또, 의존명사인 '듯'은 명사인 까닭에
조사인 '-이', '-만' 등과도 결합할 수 있고,
특히 '-이'와 결합한 경우는 연결어미와 같은 형태다.
띄어 쓰기 여부를 결정하는 품사를 구분하는 데는
'듯(이)'의 앞에 오는 용언의 형태가
'-ㄴ', '-는', -ㄹ'인가 (의존명사인 '듯'을 수식하는 관형어)
아니면 그냥 용언의 어간이나 '-았-'인가를(용언의 활용)
유심히 보아야 할 듯하다.
@ 덧붙여, 이 글에 대해 썼던 벨로의 질문도 추가해서 설명하자면,
"인 듯하다"는 "인"과 "듯" 사이를 띄어써야 맞을 듯.
-인'이라고 하는 건, '-이다'가 관형사형으로 바뀐 거니까,
(의존)명사인 '듯' 앞에서 띄어 쓰는 게 맞을 것 같다.
예를 들어, "옷차림으로 봐서 그 분은 승려인 듯해."